<구조>
표들이 많아지면 정리할 필요성이 생긴다.
(파일 디렉토리같은)
MySQL에서는 서로 연관된 표들을 그룹핑해서 연관되어 있지 않은 표들과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파일의 폴더 같은것이 있는데 그게 바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라는 표현을 같이 쓰는데 이는 표들을 그룹핑하는 일종의 폴더라고 생각하면 된다.
스키마들이 많아 지면 어딘가에 저장해야 되는데 그것을 데이터서버라고 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사용방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했을때 여러 효용이 있다.
1. 보안 : 자체적인 보안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좀 더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다.
2. 권한 : MySQL에 권한이 부여된 여러 사람을 등록할 수 있다. (읽기/쓰기/수정/삭제)
기본 유저가 root이고 관리자라서 모든 권한이 열려있다.
(그래서 root로 시스템을 다루는것은 위험해서 중요한 시스템이라면 별도 사용자를 만들어서 평소에는 그 사람 으로 작업하다가 중요한일을 할때 root로 접속하는것이 좋다.
<스키마>
스키마를 만들어서 표를 만들 준비를 해보자.
스키마 만드는법을 검색해보니 다음과 같이 나온다.
이제 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겠다는 것을 MySQL에게 알려줘야 한다.
이제 명령을 내리면 opentutorials의 표를 대상으로 명령을 실행하게 된다.
※ 본 포스팅은 개인 공부 기록을 목적으로 남긴 글이며 본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과감하게 지적 부탁드립니다.
'데이터베이스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 5. CRUD / INSERT / SELECT (0) | 2020.07.28 |
---|---|
[생활코딩] 4. SQL과 테이블 구조 / 테이블 생성 (0) | 2020.07.27 |
[생활코딩] 2. MySQL - 3.1.MySQL 설치 (0) | 2020.07.24 |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0) | 2020.07.23 |
데이터베이스란? (0) | 2020.07.23 |
댓글